한국은 세계적인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 잡았지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는 여전히 ASML(네덜란드), AMAT(미국), TEL(일본)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증착, 식각, 검사 및 테스트 장비 등 일부 분야에서 주성엔지니어링, 원익 IPS, 유진테크, PSK, 한미반도체 등 한국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 반도체 장비업계가 강점을 가진 분야와 대표적인 국내 반도체 장비 기업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한국 반도체 장비업계가 강점을 가진 4가지 분야
증착(Deposition) 장비 – 주성엔지니어링, 원익 IPS, 유진테크
증착 장비는 반도체 웨이퍼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기존에는 AMAT(미국), TEL(일본)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한국의 주성엔지니어링, 원익IPS, 유진테크 등이 차세대 증착 기술을 확보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주요 한국 기업 및 강점
- 주성엔지니어링: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층증착(ALD) 기술 보유, 삼성전자·TSMC 공급
- 원익 IPS: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및 ALD 기술 개발
- 유진테크: ALD 장비를 중심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협력 확대
- 테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증착 장비 분야에서 기술력 보유
한국의 강점
- 글로벌 업체 대비 비용 경쟁력 우수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빠른 기술 테스트 및 상용화 가능
- 주성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차세대 ALD 기술 선도
식각(Etching) 장비 – PSK, 엘오티베큠
식각 장비는 반도체 회로를 웨이퍼에 새기는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램리서치(미국), TEL(일본)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한국의 PSK, 엘오티베큠 등이 기술력을 확보하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주요 한국 기업 및 강점
- PSK: 플라즈마 식각(Plasma Etching) 기술 보유, 삼성전자·SK하이닉스 협력
- 엘오티베큠: 진공 장비 및 식각 기술 개발,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장 공략
- 케이씨텍: 화학 기계 연마(CMP) 및 습식 식각 장비 개발
한국의 강점
- 기존 글로벌 업체 대비 비용 절감 효과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 고객사 확보
- 반도체 미세화(3nm 이하)로 첨단 식각 기술 수요 증가
검사 및 테스트(Inspection & Test) 장비 – 한미반도체, 네패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불량을 검사하고, 테스트하는 장비는 KLA(미국), ASML(네덜란드) 등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한미반도체, 네패스 등이 기술력을 확보하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요 한국 기업 및 강점
- 한미반도체: 반도체 웨이퍼 절단(Sawing), 다이 본딩(Die Bonding) 기술 선도
- 네패스: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및 패키징 기술 강점
- 엑시콘: 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장비 제조, 국내 시장 점유율 증가
한국의 강점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
- 최신 AI 및 머신러닝 기술 도입을 통한 검사 정밀도 향상
첨단 패키징(Advanced Packaging) 기술 – 주성엔지니어링, 네패스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반도체 칩의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분야입니다.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시장에서 한국의 주성엔지니어링, 네패스 등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한국 기업 및 강점
- 주성엔지니어링: 차세대 Fan-Out 패키징 기술 연구 개발
- 네패스: 반도체 고성능 패키징 기술(HBM, Chiplet) 선도
한국의 강점
- AI·HPC(고성능 컴퓨팅) 확산으로 첨단 패키징 수요 증가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첨단 메모리 반도체 패키징 수요 증가
결론: 한국 반도체 장비업계, 특정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
한국 반도체 장비업계는 아직 EUV 노광 장비(ASML), 첨단 식각 장비(램리서치), 고급 증착 장비(AMAT)와 같은 시장에서는 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증착, 식각, 검사 및 패키징 장비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성엔지니어링, 원익 IPS, 유진테크, PSK, 한미반도체, 네패스 등의 기업들이 기술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한국 반도체 장비 기업들은 첨단 패키징, AI 기반 검사 장비, 자동화 기술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